본문으로 건너뛰기

1. ISA 의무 가입 기간 만료 후 선택지

1.1 의무 가입 기간 제도

  • ISA는 2021년부터 의무 가입 기간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
  • ISA 의무 가입 기간을 3년으로 정하고, 의무 가입 기간이 지났다면 만기 이전에 중도 해지하더라도 비과세와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

1.2 의무 가입 기간 만료 후 3가지 선택지

  • ISA 만기까지 운영하기
  • ISA 해지 후 재가입
  • ISA 해지 후 연금 전환

이번 글에서는 ISA 해지 후 연금 전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2. ISA 연금 전환

2.1 세액공제 혜택

  • ISA 만기 자금을 연금저축계좌나 IRP로 이전하면 전환 금액의 10%, 최대 300만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예시 1: ISA 계좌 만기금 1,500만원
    • 연금계좌로 이전 시: 1,500만원 × 10% = 150만원 세액공제
  • 예시 2: ISA 만기금 3,600만원
    • 연금계좌로 이전 시: 3,600만원 × 10% = 360만원 → 최대 한도 300만원 세액공제

2.2 이전 방법

  • ISA 만기 자금은 일부만 연금 계좌에 이체하는 것도 가능합니다
  • 60일 이내라면 여러 차례 이체도 가능합니다
  • 연금계좌 이체는 만기일 또는 해지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이체해야 합니다

3. 연금 이전 조건

ISA 만기 이전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.

  • 의무가입기간: 만 3년 이상
  • 만기해지 전 전부 현금화: 만기해지 전 2 영업일 전에 매도해야 합니다

4. 만기해지 및 연금이전 방법

만기해지 및 이전 방법은 증권사마다 다릅니다.

4.1 미래에셋 만기해지 및 연금이전 방법

1단계: 만기해지 신청

  • 고객센터 전화(1588-6800)로 ISA 만기해지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
  • 앱에서 만기해지 처리는 불가능합니다
  • 상담원이 만기해지 조건 및 예상 세금을 알려줍니다
  • 세금 출금 및 ISA 만기해지 처리를 합니다

2단계: ISA 전환입금 신청

앱에서 ISA 전환입금 신청을 진행합니다.

  • 보유중인 연금계좌 목록에서 연금계좌를 선택합니다
  • 전환신청금액을 입력합니다
  • 입금전용계좌번호를 확인합니다

3단계: 연금계좌로 금액 이체

앱에서 연금계좌로 금액 이체를 합니다.

  • 위에서 입력한 전환신청금액만큼 연금계좌로 이체합니다
  • 입금전용계좌번호로 이체해야 합니다
  • 연금계좌는 납입한도가 정해져있기 때문에 별도의 입금전용계좌번호가 있습니다
  • 기존 계좌번호 끝에 -22가 붙은 계좌번호로 이체해야 합니다
입금전용계좌번호 확인 필수

연금계좌로 이체 시 반드시 입금전용계좌번호 (기존 계좌번호 + -22)로 이체해야 합니다.

5. 연금 이전 시 과세 재원과 비과세 재원 나누기

5.1 과세 재원과 비과세 재원이란

  • 과세 재원: 세액공제를 받은 자금 (연금 수령 시 과세 대상)
  • 비과세 재원: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자금 (연금 수령 시 비과세)
  • 일부 투자자들은 과세 재원과 비과세 재원을 나누어 관리하기 위해 연금저축펀드를 2개 운용합니다

5.2 ISA 만기 자금 이전 시 세액공제 계산 방식

  • ISA 만기 자금 중 추가 세액공제 대상은 연금계좌로 이전한 금액의 10% 입니다.
  • 예시: ISA 만기자금 3,000만원
    • 연금계좌로 이전 시 세액공제 대상: 3,000만원 × 10% = 300만원

5.3 과세/비과세 재원을 나누려고 할 때의 문제

많은 분들이 다음과 같이 생각합니다:

  • 희망하는 방식 (실제로는 작동하지 않음):
    • A 연금저축(과세 재원 계좌): 300만원 이체 → 세액공제 받은 300만원 전액 관리
    • B 연금저축(비과세 재원 계좌): 2,700만원 이체 → 세액공제 받지 않은 2,700만원 전액 관리

5.4 실제 작동 방식

하지만 시스템상 위처럼 작동하지 않습니다.

  • 실제 계산 방식:
    • A 연금저축: 300만원 이체 → 세액공제 대상 30만원 (300만원 × 10%)
    • B 연금저축: 2,700만원 이체 → 세액공제 대상 270만원 (2,700만원 × 10%)
과세/비과세 재원 분리 불가

ISA 만기 자금을 여러 연금계좌로 나누어 이체하더라도, 각 계좌에 이체한 금액의 10%씩 세액공제 대상(과세 재원)이 자동으로 배분됩니다.

따라서 비과세 재원만 담아 운용하고 싶은 계좌에도 세액공제 받은 자금(과세 재원)이 일부 포함되게 됩니다.

결론: ISA 만기 자금 이전 시 과세 재원과 비과세 재원을 완전히 분리하여 관리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.

6. Q&A

Q1. 여러 해에 걸쳐 이체하면 세액공제를 여러 번 받을 수 있나요?

질문: 의무 가입 기간이 지나고 총 자금이 6,000만원인 ISA를 12월 중순에 해지해서 3,000만원을 IRP에 이체하고 추가 세액공제 300만원을 받은 뒤, 그 해를 지나 1월 중순에 나머지 3,000만원을 다시 IRP에 이체하면 전년, 다음년 300만원씩 두 번 추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나요?

답변: 그렇지 않습니다.

  • 하나의 ISA에서 나온 자금을 여러 번 나누어 연금계좌에 이전하더라도 최대 한도 300만원으로만 추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
  • 여러 개의 IRP, 연금저축에 이전하더라도 최대 300만원 한도로만 추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
ISA 만기 자금 이전 세액공제 한도
  • 1개 ISA 계좌당 최대 300만원 한도
  • 여러 번 나누어 이체하거나 여러 연금계좌에 이체해도 동일
  • 이전 금액의 10%, 최대 300만원까지만 세액공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