노인빈곤율
들어가며: OECD 최고 수준이라는 충격적 현실
우리나라의 노인빈곤율이 OECD 최고 수준이라는 소식은 더 이상 새롭지 않습니다. 하지만 이 문제를 단순히 '우리나라 노인들이 가난하다'는 식으로 이해한다면 본질을 놓치게 됩니다.
한국개발연구원(KDI)의 최신 연구 결과는 우리에게 중요한 사실을 알려줍니다. 노인빈곤 문제는 세대별로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며, 소득만으로는 실상을 파악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.
핵심 발견
2021년 기준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37.7%로 여전히 OECD 최고 수준이지만, 1940년대생 이전 세대와 1950년대생 이후 세대 간에는 무려 16.7%포인트의 격차가 존재합니다.
1. 우리나라 노인빈곤의 현주소
1.1 국제적으로 돋보이는 높은 수준
2018년 기준 OECD 회원국의 평균 노인빈곤율은 13.1%입니다. 반면 우리나라는 43.4%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습니다. 이는 단순히 '3배 높다'는 수준이 아닙니다. 다른 나라들과는 차원이 다른 문제인 것입니다.
더욱 충격적인 것은 전체 인구 빈곤율과의 격차입니다. 우리나라의 전체 인구 빈곤율은 2021년 기준 15.1%인데, 노인빈곤율은 37.7%로 무려 22.6%포인트나 높습니다. 일반적으로 노인빈곤율이 전체 인구 빈곤율보다 높긴 하지만, 이 정도 격차는 이례적입니다.
1.2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심각한 수준
그나마 다행인 것은 노인빈곤율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는 점입니다:
- 2016년: 43.6%
- 2021년: 37.7%
- 개선폭: 5.9%포인트 감소
하지만 여전히 노인 10명 중 4명 가까이가 빈곤층에 속한다는 현실은 변하지 않았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