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SR
1. DSR이란?
1.1 기본 개념
- **DSR(Debt Service Ratio,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**은 차주의 모든 대출에 대한 연간 원리금 상환액을 연간 소득으로 나누어 계산하는 부채상환능력 지표입니다.
- 차주가 소득 대비 얼마나 많은 대출 상환 부담을 지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가장 포괄적인 기준입니다.
1.2 계산 공식
DSR = (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÷ 연간 소득) × 100
DSR의 핵심
DSR은 **"소득 대비 총 대출 상환 부담"**을 측정하는 가장 정확한 지표입니다. 모든 대출을 포함하여 차주의 실제 상환능력을 종합 평가합니다.
1.3 제외 대상
- 다만 금융당국의 지침에 따라 DSR이 적용되지 않는 대출들도 정해져 있습니다.
- 전세자금대출이나 실수요자 대상 정책금융상품, 서민 대상 금융상품 등이 대표적입니다.
- 이 대출들은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얼마인지와 상관없이 차주의 DSR에 반영되지 않습니다.
- 다음 대출들이 DSR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는 대출입니다.
- 전세자금대출 (전세보증금 담보대출은 제외)
- 보금자리론 및 특례보금자리론
- 신생아 특례 구입‧전세자금대출
- 분양주택에 대한 중도금대출
- 재건축‧재개발 주택에 대한 이주비 대출, 추가분담금에 대한 중도금 대출
- 분양 오피스텔에 대한 중도금 대출
- 서민금융상품 (새희망홀씨, 바꿔드림론, 사잇돌대출, 징검다리론, 대학생‧청년 햇살론 등)
- 300만 원 이하 소액 신용대출 (유가증권 담보대출 포함)
- 주택연금 (역모기지론)
- 정책적 목적에 따라 정부, 공공기관, 지방자치단체 등과 이차보전 등 협약을 체결해 취급하는 대출
- 자연재해 지역에 대한 지원 등 정부정책 등에 따라 긴급하게 취급하는 대출
- 보험계약대출
- 상용차 금융
- 예적금 담보대출
- 할부‧리스 및 현금 서비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