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건너뛰기

1. Terraform 개요

  • Terraform은 인프라스트럭처를 코드로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IaC(Infrastructure as Code) 도구입니다.
  •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설정 파일을 통해 인프라를 정의하고, 이를 버전 관리하고, 재사용하며, 공유할 수 있습니다.

2. 주요 활용 사례

2.1 멀티 클라우드 배포

  • 멀티 클라우드 환경은 클라우드 제공자의 장애에 대한 내결함성을 높여주지만, 각 제공자마다 다른 인터페이스와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복잡성이 있습니다.
  • Azure와 AWS 환경에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프로비저닝
  • Consul 페더레이션을 통한 클러스터 간 연결
  • 마이크로서비스의 크로스 클라우드 배포
정보

Terraform을 사용하면 단일 워크플로우로 여러 클라우드 제공자를 관리하고 클라우드 간 종속성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.

2.2 애플리케이션 인프라 관리

  • N-계층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에서 각 컴포넌트를 독립적으로 확장하고 관리해야 할 때 Terraform이 특히 유용합니다.
    • 웹 서버 풀의 자동 확장
    • 데이터베이스 계층 관리
    • API 서버, 캐싱 서버, 라우팅 메시 구성
    • 계층 간 종속성 자동 처리

2.3 셀프 서비스 클러스터

  • 대규모 조직에서 중앙화된 운영팀이 받는 반복적인 인프라 요청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.
  • 주요 기능
    • 재사용 가능한 인프라 모듈 생성
    • ServiceNow와 같은 티켓팅 시스템과 통합
    • HCP Terraform을 통한 중앙화된 관리

Terraform 모듈을 통해 조직의 표준을 코드화하여, 각 팀이 독립적으로 인프라를 관리하면서도 조직의 규정을 준수할 수 있습니다.

2.4 정책 준수 및 관리

  • Terraform Enterprise와 HCP Terraform에서 제공하는 Sentinel을 통해 인프라 변경 전에 정책 준수를 자동으로 검증할 수 있습니다.
경고

수동적인 티켓 기반 검토 프로세스는 개발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. 정책을 코드로 관리하면 이러한 병목 현상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.

2.5 PaaS 애플리케이션 설정

  • Heroku와 같은 PaaS 환경에서 웹 애플리케이션과 부가 기능을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.
  • 구성 가능 항목:
    • 데이터베이스 및 이메일 제공자 연결
    • DNSimple을 통한 CNAME 설정
    • Cloudflare CDN 구성

2.6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

  • Terraform은 SDN(Software Defined Network)과 연동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에 따라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.
정보

Consul-Terraform-Sync를 통해 서비스가 등록되면 자동으로 필요한 네트워크 설정을 생성하고 적용할 수 있습니다.

2.7 쿠버네티스 관리

  • Terraform으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배포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.
  • 주요 기능:
    • 클러스터 프로비저닝
    • 리소스(파드, 디플로이먼트, 서비스 등) 관리
    • Kubernetes Operator for Terraform을 통한 CRD 기반 관리

2.8 병렬 환경 관리

  • 개발, 테스트, QA, 프로덕션 등 여러 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.

필요할 때마다 환경을 생성하고 제거할 수 있어, 각 환경을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것보다 비용 효율적입니다.

3. 결론

  • Terraform은 현대적인 인프라 관리에 필수적인 도구로, 다양한 사용 사례에서 그 가치를 입증하고 있습니다.
  • 특히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일관된 관리, 자동화된 정책 준수, 셀프 서비스 인프라 제공 등은 많은 조직에서 주목하는 핵심 기능입니다.
  • Terraform을 활용하면 인프라 관리를 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, 조직의 DevOps 성숙도를 한 단계 높일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