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Spring MVC는 다른 웹 프레임워크와 마찬가지로 front controller pattern으로 디자인 되었다.
- 여기서 front controller란
DispatcherServlet
를 의미한다.
DispatcherServlet
은 모든 Controller 앞에 위치하여 요청에 대한 공통된 로직을 처리를 할 수 있다.
DispatcherServlet
은 설정 가능한 여러 요소들에게 일을 위임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한다.
- 이러한 방식은 유연성을 제공해 다양한 작업 방식을 지원한다.
- DispacherServlet도 부모 클래스 에서 HttpServlet 을 상속 받아서 사용하고, 서블릿으로 동작한다.
DispatcherServlet
은 다른 Servlet
과 마찬가지로 Servlet specification에 따라 선언되고 매핑되어야 하는데 이때 specification으로 Java
configuration 또는 web.xml
을 사용할 수 있다.
- 스프링 부트는
DispacherServlet
을 서블릿으로 자동으로 등록하면서 모든 경로( urlPatterns="/" )에 대해서 매핑한다.
1.1 FrontController 패턴 특징
- 프론트 컨트롤러 서블릿 하나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음 프론트 컨트롤러가 요청에 맞는 컨트롤러를 찾아서 호출한다
- 입구를 하나로 만들어 공통 처리가 가능하다
- 프론트 컨트롤러를 제외한 나머지 컨트롤러는 서블릿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
- 스프링 웹 MVC의 DispatcherServlet이 FrontController 패턴으로 구현되어 있다
2 DispatcherServlet 선언
- Java Configuration 또는 xml로 DispatcherServlet을 선언하고 등록할 수 있다.
- 아래와 같이 DispatcherServlet을 등록하면 서블릿 컨테이너가 자동 감지한다.
- 스프링 부트는 DispatcherServlet을 자동으로 등록하면서 모든 경로에 대해서 매핑한다.
2.1 Java Configuration으로 DispatcherServlet 선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