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etwork-Devices
1 Network Device
2 L1: Physical layer 장비
- Physical layer 장비는 들어온 전기 신호를 그대로 잘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다
- 따라서 전기 신호가 들어오면 이 전기 신호를 재생성해서 내보낸다
- Physical layer에는 주소 개념이 없으므로 전기 신호가 들어온 포트를 제외하고 모든 포트에 같은 전기 신호를 보낸다
2.1 허브
- 허브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줄어드는 전기 신호를 재생성해준다
- 허브는 다순히 들어온 신호를 모든 포트로 내보내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단말이 경쟁하게 되므로 전체 네트워크 성능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
- 패킷이 무한 순환해 네트워크 전체를 마비시키는 루프와 같은 다양한 장애 원인이 되어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
2.2 리피터
- 네트워크 통신을 중재하는 장비
3 L2: Data link layer 장비
- Data link layer에서 동작하는 장비는 모두 MAC 주소를 이해할 수 있다
3.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(NIC)
- LAN Card, Network Adapter라고도 불린다
-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하드웨어 장치
- NIC는 고유한 MAC 주소를 가지고 있다
기능
- 직렬화
- 전기적 신호를 데이터 신호 형태로 또는 데이터 신호 형태를 전기적 신호 형태로 변환한다
- MAC 주소
- NIC는 고유한 MAC 주소를 가지고 있다
- 흐름제어
- 패킷기반 네트워크는 다양한 통신이 하나의 채널을 이용해 이미 통신 중이라면 새로운 데이터를 받지 못할 수 있다
- 이런 현상으로 인한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를 받지 못할 떄는 상대방에게 통신 중지를 요청한다
NIC 동작방식
- 전기 신호를 데이터 형태로 만든다
- 목적지 MAC 주소와 출발지 MAC 주소를 확인한다
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를 확인한다
- 주소가 일치하면 데이터를 처리하고 다르면 데이터를 폐기한다
- 일치한 경우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메모리에 적재한다
3.2 스위치
- 스위치에 들어온 프레임의 MAC 주소를 보고 통신해야할 포트로 지정해 데이터를 보내는 기능을 담당
- MAC 주소와 포트를 매핑한 MAC 주소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
- 스위치는 아무 설정없이 네트워크에 연결해도 MAC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는 기본 동작을 수행한다
MAC 주소 테이블
- MAC 주소와 스위치의 인터페이스 정보가 매핑되어 있다
- 스위치는 프레임 헤더의 목적지 MAC 주소를 확인하고 해당 주소가 어떤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지 MAC 주소 테이블을 확인하여 프레임을 그 포트로만 전송한다
- 만약 MAC 주소 테이블에서 MAC 주소를 찾지 못한다면 스위치는 전체 포트로 프레임을 전송한다
스위치 동작 방식
- 플러딩
- 어드레스 러닝
- 포워딩/필터링
플러딩
- 스위치는 부팅하면 네트워크 관련 정보가 없는 상태
- 이때 스위치는 허브처럼 동작해 들어올 프레임을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로 전달한다
- 스위치가 허브같이 모든 포트로 프레임을 흘리는 동작 방식을 플러딩이라고 한다
어드레스 러닝
- MAC 주소 테이블을 만들고 유지하는 과정을 어드레스 러닝이라고 한다
- 스위치 특정 포트에 프레임이 들어오면 출발지 MAC 주소와 해당 포트를 MAC 주소 테이블에 기록한다
포워딩/필터링
- 포워딩이란 프레임이 스위치에 들어오면 목적지 MAC 주소를 MAC 주소 테이블에서 조회에 매칭되는 포트로 프레임을 전송한다
- 이를 포워딩이라고 한다. 이때 다른 포트로는 해당 프레임을 보내지 않으므로 이 동작을 필터링이라고 한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