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ADME
1 쿠버네티스 설치 환경의 종류
- 쿠버네티스는 사용 환경과 목적에 따라 설치하는 방법이 다양하다
- 실제 운영 단계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축하려면 AWS, GKE 등의 클라우드 환경에서 쿠버네티스를 설치해야 할 수 있다.
1.1 개발 용도의 쿠버네티스 설치
- Minikube
- Docker Desktop
Docker Desktop 또는 Minikube
- Docker Desktop을 설치했다면 쿠버네티스를 함께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설치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.
- Minikube를 사용하면 버추얼 박스 등의 가상화 환경에서 쿠버네티스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.
- 그러나 이러한 개발 용도의 쿠버네티스 로컬노드를 스탠드얼론 모드로 사용하기 때문에 모든 기능을 완벽히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.
1.2 서비스 테스트 또는 운영 용도의 쿠버네티스 설치
- kops
- kubespray
- kubeadm
- EKS, CKE 등의 매니지드 서비스
1.3 자체 서버 환경에서 쿠버네티스 설치
- 온프레미스 서버 환경
- 쿠버네티스를 포함한 모든 인프라를 직접 관리해야 한다.
- 쿠버네티스와 서버 인프라를 세밀한 부분까지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
- 그러나 운영 및 유지보수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
- 자체 서버 환경에서 kubespray, kubeadm 등의 도구를 이용해 쿠버네티스를 설치한다
1.4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쿠버네티스 설치
- 서버 인스턴스만 사용하는 방법
- 쿠버네티스 설치 및 관리를 직접 해야한다.
- kubespray, kubeadm, kops등의 도구를 이용해 쿠버네티스를 설치한다
- 서버, 네트워크 등 인프라에 대한 관리는 클라우드 플랫폼에 맡긴다.
- 예를 들어 AWS의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그 위에 직접 쿠버네티스를 설치하는 것
- 쿠버네티스 자체를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매니지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
- AWS의 EKS, GCP의 GKE 등의 매니지드 서비스를 이용한다
- 쿠버네티스의 설치와 관리를 클라우드 제공자가 담당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