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데이터베이스 선정
- 각 데이터베이스는 다른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
- 모든 요구 사항에 대해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사용해 만든 솔류션은 성능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수 있습니다.
- RDBMS 분야조차 OLAP, OLTP 시스템의 요구사항은 매우 다릅니다.
- 데이터 관계를 생각해보면 RDBMS는 이미 존재하는 관계를 강제할 때 좋지만, 관계를 새로 발견하고 싶거나 같은 객체에 속하는 데이터를 다른 테이블에서 찾아야 할 경우 사용하기가 어려워진다.
2. 이종 데이터 저장소의 필요성
- 많은 기업에서 비즈니스 트랜잭션, 세션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그리고 이와 다르 종류의 저장소를 필요로 하는 리포팅, BI, 데이터 웨어하우징, 로깅에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.
- 세션, 장바구니 데이터에 대한 가용성과 일관성, 백업 요건의 수준은 주문 데이터에 필요한 수준과 같아야 할까요?
- 닐포드는 문제마다 이를 해결하는데 유리한 언어가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언어로 작성하는 다중 언어 프로그래밍이란 용어를 만들었습니다.
- 이와 마찬가지로 여러 종류의 저장소를 사용하는 방법을 다중 저장소 지속성이라고 합니다.
- 데이터 저장소 기술을 추가할수록 프래그래밍 운영 복잡도가 증가하므로, 도입의 장점과 복잡도 증가 문제의 경중을 고려해야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