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건너뛰기

VolumeType

1 Amazon EBS 볼륨 타입

  • Amazon EBS는 EC2 인스턴스를 위한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입니다.
  • 워크로드 특성에 따라 적절한 볼륨 타입을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
  • 잘못된 볼륨 타입 선택은 성능 저하와 비용 증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.

2 SSD 기반 볼륨 타입

2.1 General Purpose SSD (gp2 vs gp3)

2.1.1 gp3의 특징

  • 기본 성능:
    • 기본적으로 3,000 IOPS와 125MiB/s 처리량 제공
    • 볼륨 크기와 관계없이 일관된 성능 제공
    • 버스트 크레딧 방식을 사용하지 않음
  • 성능 확장:
    • IOPS를 최대 16,000까지 설정 가능
    • 처리량을 최대 1,000MiB/s까지 별도로 설정 가능
    • 볼륨 크기를 늘리지 않고도 성능을 높일 수 있음
  • 비용 효율성:
    • gp2보다 20% 저렴한 기본 요금
    • 필요한 만큼만 IOPS와 처리량을 설정하여 비용 최적화 가능

2.1.2 gp2의 특징

  • 성능 특성:
    • 볼륨 크기에 따라 IOPS가 연동 (1GiB당 3 IOPS)
    • 최대 16,000 IOPS까지 지원
    • 버스트 크레딧 방식 사용
  • 제한 사항:
    • 크레딧 소진 시 기본 성능으로 저하
    • 볼륨 크기 증가 없이 IOPS 향상 불가
    • 성능 예측이 어려울 수 있음

2.2 Provisioned IOPS SSD (io1/io2)

2.2.1 io1의 특징

  • 성능:
    • Nitro 기반 인스턴스에서 최대 64,000 IOPS
    • 일반 인스턴스에서 최대 32,000 IOPS
    • 사용자 지정 IOPS 설정 가능
  • 용도:
    • 고성능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워크로드
    • 일관된 I/O 성능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
    • 크기 범위: 4GiB - 16TiB

2.2.2 io2의 특징

  • 성능:
    • 최대 256,000 IOPS (IOPS 비율 1,000:1)
    • EBS Multi-Attach 지원
    • 더 높은 내구성 제공
  • 용도:
    • 미션 크리티컬한 워크로드
    • 고성능 데이터베이스
    • 크기 범위: 4GiB - 64TiB

3 HDD 기반 볼륨 타입

3.1 Throughput Optimized HDD (st1)

  • 특징:
    • 최대 처리량 500MiB/s
    • 최대 IOPS 500
    • 크기 범위: 125GiB - 16TiB
  • 적합한 워크로드:
    • 빅데이터 처리
    • 데이터 웨어하우스
    • 로그 처리
    • 순차적 읽기/쓰기가 많은 워크로드

3.2 Cold HDD (sc1)

  • 특징:
    • 최대 처리량 250MiB/s
    • 최대 IOPS 250
    • 크기 범위: 125GiB - 16TiB
  • 적합한 워크로드:
    • 자주 접근하지 않는 데이터 저장
    • 최저 비용이 우선순위인 백업 storage
    • 아카이브 데이터

4 워크로드별 볼륨 타입 선택 가이드

4.1 데이터베이스 워크로드

4.1.1 권장 볼륨 타입

  1. 고성능 필요 시:
    • io1/io2: 미션 크리티컬한 데이터베이스
    • 예측 가능한 일관된 성능 필요 시
  2. 중간 성능 필요 시:
    • gp3: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워크로드
    • 비용 효율적이면서 일관된 성능 필요 시

4.1.2 피해야 할 볼륨 타입

  • st1/sc1: 데이터베이스 워크로드에 부적합
  • 낮은 IOPS로 인한 심각한 성능 저하 발생

4.2 빅데이터/로그 처리 워크로드

4.2.1 권장 볼륨 타입

  • st1:
    • 순차적 읽기/쓰기가 많은 경우
    • 처리량이 중요한 경우
    • 비용 효율성이 중요한 경우

4.2.2 고려사항

  • IOPS보다 처리량이 중요한 워크로드
  • 무작위 액세스가 적은 워크로드
  • 비용 최적화가 필요한 경우

5 성능 문제 해결 가이드

5.1 성능 저하 시 확인사항

  • CloudWatch 메트릭 모니터링:
    • VolumeReadOps
    • VolumeWriteOps
    • VolumeQueueLength

5.2 볼륨 타입 변경 고려사항

  • gp2에서 gp3로 변경:
    • 버스트 크레딧 소진 문제 해결
    • 예측 가능한 성능 확보
    • 비용 최적화

5.3 마이그레이션 절차

  1. 볼륨 스냅샷 생성
  2. 새로운 볼륨 타입으로 복원
  3. 필요한 IOPS/처리량 설정
  4. 워크로드 테스트 및 모니터링

6 비용 최적화 전략

6.1 볼륨 타입별 비용 비교

  • gp3: 기본 요금이 가장 저렴한 SSD 옵션
  • gp2: 크기에 따라 IOPS가 결정되어 비용 예측 용이
  • io1/io2: 가장 비싸지만 최고 성능 제공
  • st1/sc1: 가장 저렴한 옵션이나 용도가 제한적

6.2 비용 절감 팁

  • 불필요한 프로비저닝된 IOPS 제거
  • 미사용 볼륨 식별 및 제거
  • 적절한 볼륨 크기 설정
  • 주기적인 성능 모니터링 및 최적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