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LI
1 CloudFormation CLI 기본 명령어
- AWS CloudFormation은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서비스입니다.
- 이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AWS CLI를 사용하여 CloudFormation 스택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- AWS CLI를 통해 CloudFormation 스택을 생성, 업데이트, 삭제할 수 있습니다.
- 가장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:
aws cloudformation create-stack
aws cloudformation update-stack
aws cloudformation delete-stack
aws cloudformation describe-stacks
2 스택 생성하기
create-stack 명령어 예시
aws cloudformation create-stack \
--stack-name my-new-stack \
--template-body file://template.yaml \
--parameters ParameterKey=KeyPairName,ParameterValue=MyKeyPair
- 스택을 생성하려면
create-stack
명령어를 사용합니다. - 기본적인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
- 이 명령어는 'my-new-stack'이라는 이름의 스택을 생성합니다.
--template-body
옵션은 로컬 파일 시스템의 템플릿 파일을 지정합니다.--parameters
옵션을 통해 템플릿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.
3 스택 업데이트하기
update-stack 명령어 예시
aws cloudformation update-stack \
--stack-name my-existing-stack \
--template-body file://updated-template.yaml \
--parameters ParameterKey=KeyPairName,ParameterValue=MyNewKeyPair
- 기존 스택을 업데이트하려면
update-stack
명령어를 사용합니다. - 사용법은
create-stack
과 유사합니다: - 이 명령어는 'my-existing-stack'이라는 이름의 스택을 업데이트합니다.
- 새로운 템플릿 파일과 업데이트된 파라미터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.
4 롤백 비활성화 옵션
롤백 비활성화 예시
aws cloudformation create-stack \
--stack-name my-no-rollback-stack \
--template-body file://template.yaml \
--disable-rollback
- 스택 생성 또는 업데이트 중 오류가 발생했을 때 기본적으로 CloudFormation은 롤백을 수행합니다.
- 하지만 때로는 오류가 발생해도 성공적으로 프로비저닝된 리소스를 보존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.
- 이럴 때
--disable-rollback
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- 이 옵션을 사용하면 오류 발생 시 CloudFormation이 롤백을 수행하지 않고 프로세스를 중지합니다.
- 성공적으로 생성된 리소스는 그대로 유지되어 디버깅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5 스택 삭제하기
delete-stack 명령어
aws cloudformation delete-stack --stack-name my-stack-to-delete